* 사용 범위에 따른 분류
1. 공인 ip
-. 공인기관(ISP) SK, KT, LG 등의 통신사에서 인증한 공인된 공개형 ip 주소로 전세계에서 유일한 ip주소
-. 공개형 ip 주소로 외부에 공개되어 있어 외부에서 접근 가능
-. 공인 ip 주소 확인 : 웹브라우저에서 내 ip 확인 검색
-. 공인 ip는 할당방식에 따라 고정ip, 유동ip, 전용ip, 공유ip로 구분
2. 내부 ip(사설 ip)
-. 외부에 공개되지 않는 패쇄형 ip주소로 외부에서 검색이나 접근이 불가능한 ip
-. 사설 ip는 각자의 로컬 네트워크에서 할당하며 다른 네트워크의 ip주소와 중복될 수 있으나 각자의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고유한 주소
-. 일반가정이나 회사 내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
-. 사용자가 임의로 ip를 부여 할 수 있음
-. 사용가능한 ip 대역
> 10.0.0.0 ~ 10.255.255.255(A Class)
> 172.16.0.0 ~ 172.31.255.255(B Class)
>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(C Class)
* 할당방식에 따른 분류
1. 고정 ip(정적 ip)
-. 컴퓨터에서 명시적으로 ip주소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식
-. 사용자 전용으로 부여된 ip주소로 이를 반납하기 전까지 ip정보가 변경되지 않고 사용아 가능
-. 다른 장비에서 해당 주소에 대한 사용이 불가
2. 유동 ip(동적 ip)
-. ip를 할당하는 특정 서버가 보내주는 ip주소 그대로 컴퓨터에 자동 설정되는 방식(DHCP 방식)
-. ip고갈 현상을 대바하여 유동 ip를 도입
-. 한정된 ip수로 인해 ISP업체에서 일정한 주기 또는 접속이 바뀔 때마다 매번 새로운 ip를 부여하는 것 DHCP를 통해 전원이 꺼져있는 ip를 회수하여 전원이 켜져있는 통신장비에 ip를 부여하는 방식
3. 전용 ip
-. 특정 사용자만 고유하게 사용할 수 있는 ip주소
-. ip주소 입력만으로 웹사이트 접속 가능
4. 공유 ip
-.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 ip주소
-. 동일한 서버에 다수의 웹사이트가 호스팅되어 있을 시 공유ip주소를 사용
-. 주로 페이지수와 트래픽이 많지 않은 웹사이트에서 사용
'it > 개발자 모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자료구조(Data Structure) (0) | 2023.03.29 |
---|---|
[Network] Subnet Mask(서브넷 마스크) (0) | 2023.03.27 |
[Network] IP 주소의 클래스 (0) | 2023.03.24 |
[Network] IP(Internet Protocol) 란? (0) | 2023.03.23 |
[OpenCV] OpenCV 라이브러리 설치하기(Visual Studio 2019) (0) | 2023.03.2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