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/개발자 모드

[Network] Subnet Mask(서브넷 마스크)

* Subnet Mask

 1. Subnet Mask(서브넷 마스크)

   -. ip주소와 네트워크 주소를 구분할때 사용하는데 2진수 숫자 1과 0으로 표시(1 = 네트워크 0 = 호스트)

   -. 네트워크 주소 : 호스트(단말)들을 모은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주소가 동일한 네트워크를 로컬 네트워크라 함

   -. 호스트 주소 :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호스트(단말)을 구분하기 위한 주소 

   -. ip주소 32bit에 공통 비트 1을 씌워서 네트워크를 표시하기 때문에 ip주소와 마찬가지로 32bit 체계

   -. 맨 앞에 비트부터 1이 연속되는 구간까지를 공통비트로 처리하여 네트워크 아이디로 사용

   -. 0으로 끝나는 마지막 구간까지를 공통하지 않는 비트로 처리하여 호스트 아이디로 사용

 

 2. IP Address(ip 주소)

   -. ip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

   -. 네트워크 주소 : 호스트(단말)들을 모은 네트워크로 네트워크 주소가 동일한 네트워크를 로컬 네트워크라 함

   -. 호스트 주소 : 하나의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호스트(단말)을 구분하기 위한 주소

   -. 각 클래스 별 할당할 수 있는 ip주소의 갯수가 다름

   -. 클래스는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해 도입 

   -. 맨 앞 옥텟으로 호스트의 클래스를 알수 있음

https://sebin3945.tistory.com/entry/Network-IP-%EC%A3%BC%EC%86%8C%EC%9D%98-%ED%81%B4%EB%9E%98%EC%8A%A4

 

[Network] IP 주소의 클래스

* IP 주소 클래스 -. 하나의 ip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과 호스트 영역을 나누는 방법이자 약속 -. 총 5개의 클래스(A, B, C, D, E)로 네트워크 크기에 따라 구분 -. A, B, C 클래스는 실제 Network에서 사용 -

sebin-chu.com

 3. Subnet

   -.  하나의 네트워크가 분할되어 나눠진 작은 네트워크로 클래스 단위로 네트워크 분류 시 효율적이고 적절한 네트워크로  분류하기 위해 사용

    > ex :

       1) 어느 기업에서 100개의 호스트만 필요하나 B Class로 네트워크 할당 -> 낭비되는 ip주소 발생

       2) 어느 기업에서 1000개의 호스트가 필요하나 C Class로 네트워크 할당 -> 사용할 수 있는 ip 부족

   -. 서브넷으로 네트워크를 분할하는 것을 서브네팅이라고 함

 

 4. Prefix 표기

   -. Prefix 표기란 서브넷 마스크 맨 앞에 비트부터 1의 개수를 표기하는 방식 즉 맨 앞에 비트부터 공통 비트 개수를 표시하는 방식

   -. 서브넷 마스크가 255.255.255.0 인 경우 맨앞의 비트부터 1의 24개가 있으므로 /24로 표기

   -. 기본 서브넷 마스크

    > A Class :  255.0.0.0 /   8 (1111 1111. 0000 0000. 0000 0000. 0000 0000)

    > B Class :  255.0.0.0 / 16 (1111 1111. 1111 1111. 0000 0000. 0000 0000)

    > C Class :  255.0.0.0 / 24 (1111 1111. 1111 1111. 1111 1111. 0000 0000)

    

 5. network ID(네트워크 ID)

   -. 해당 서브넷의 시작 주소

   -.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 주소를 and연산(동일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지 확인 가능)

   -. network ID가 차지하는 자리수가 많을 수록 서브넷이 많아짐(각 네트워크에 호스트 주소 범위가 줄어듬)

 

 6. Broadcast(서브넷 브로드캐스트)

   -. 해당 네트워크 주소에서 할당 할 수 있는 가장 큰 값으로  서브넷의 마지막 주소

   -. 특정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호스트들이 갖게되는 주소(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로컬네트워크 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)

 

 

'it > 개발자 모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자료구조] 알고리즘(Algorithm)  (0) 2023.03.30
[자료구조] 자료구조(Data Structure)  (0) 2023.03.29
[Network] IP 분류  (0) 2023.03.25
[Network] IP 주소의 클래스  (0) 2023.03.24
[Network] IP(Internet Protocol) 란?  (0) 2023.03.23